소창 박물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.
소개 | 소창 칼럼 | 역사의 강물에 서서 | 옛길 따라서 | 박물관 이야기 | 문화유산 답사기 | 역사문화 보고서 | 열린 사진관 | Travel | 문화풍경 | 열린 마당

- 조선통신사 답사의 의의
- 답사 그림 및 여정도
답사일정표
조선통신사 여정
이즈하라 시내지도(대마도)
- 답사지 소개

- 문화개관
■조선통신사 이전의 통신사
1. 고려때의 통신사와 조선전기의 통신사절

2. 조선전기의 사절과 조선통신사와의 차이점
■조선왕조 후반기의 통신사 - 李進熙
1. 일의대수(一衣帶水)의 이웃나라

2. 국교의 회복
3. 동래부사(東萊府使)와 쓰시마번주(對馬藩主)의 역할
4. 통신사 파견의 절차
5. 해로(海路)와 육로(陸路)를 따라
6. 엄숙한 국서(國書) 전달 의식
7. 활발한 학술/문화 교류
8. 선린(善隣) 관계의 파탄


백제와 일본의 문화개관
■渡來人을 찾아서
이주와 활동의 4단계

■다시 쓰는 일본 고대사
■조선통신사 연표


사전답사기
교통비 내역
백제와 일본의 문화개관
백제와 일본의 문화개관
■渡來人을 찾아서 이주와 활동의 4단계
■다시 쓰는 일본 고대사
■조선통신사 연표

■渡來人을 찾아서
이주와 활동의 4단계
고대 한반도 등에서 건너온 도래인들의 이주와 활동은 4단계로 나누어진다.

① 기원전 2세기~기원후 3세기
② 4세기 말기~5세기 초기
③ 5세기 후반~6세기
④ 7세기 후반

①은 대마도를 포함한 일본 서부에서 출토되는 토기로 알려진 것처럼 한반도와 중국대륙에서의 문화가 파급된 처음 단계이다. ②는 일본(倭)정권 성장에 따른 대외활동에 호응된 도래인의 시기이다. ③은 백제, 가야 등에서 각종 기술자 집단이 많이 진출한 시기이다. ④는 660~663년 백제 멸망으로 백제의 왕족, 귀족, 관리 이하 많은 사람이 대거 건너온 시기이다. 그 시기에는 고구려에서도 건너온 왕족 등도 있었다.

 

 

 



Copyright(c) 2004 cha@sochang.net All Rights Reserved./ 016-9234-9388